연우, 장을 열다.


분석기라고 하여 몇명이 어디서 어떻게 들어왔으며, 머물러간 세션이나 브라우저 운영체제 등의 세세한 방문자들의 정보를 알아볼 수 있는게 바로 

분 to the 석기 이다. 


분석기에는 유료 무료가 있는데 무료중 가장 대표적인 아이가 바로 구글 분석기, 구글 애널리스틱스이다. 

이것을 가입하고 html 수정이 가능한 티스토리에 구글분석기를 달아보도록 하자. 


1. 구글 애널리스틱스에 접속 -> 구글 계정 로그인 


상단을 클릭하면 바로 접속가능하다 . 구글 로그인을 해주시라. 




우측에 뙇 "가입" 보이시는가? 그걸 클릭해보자. 




친절히 우리에게 물어본다. 

"무엇을 추적할래?"


난 웹사이트를 추적할래를 클릭했다. 


그리고 간단히 식별할 수 있는 이름을 적는다. 

티스토리

웹사이트 이름도 적고적고 

카테고리, 보고서 시간대 대한민국으로 체쿠체쿠



그리고 스크롤링하면 하단에 "추적 아이디 가져오기" 가 있다. 

어 뭐지 내겐 아이디가 없다!! 라고 생각하지 마시라 

그냥 일종의 언어 차이라 생각하고 "확인"이라 생각하시라 -




클릭하고 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. 


무조건 동의, 


우리 예전에 게임 설치할때 "Next->"를 생각없이 누른것과 같다. 


ㅋㅋㅋㅋㅋㅋ



아 이제 구글 소스가 생성됐다. 


빨간 박스 내부가 나만의 고유 아이디값에 해당한다. 


웹사이트 추적 중에서 


<script>~~~~~~아무문자대단치이게뭐이람블라블라블라~~~~~~</script>


이 부분을 복사해서 


그대로 내 티스토리로 가자 ~ 




티스토리 관리자 로그인. 


그리고 HTML/CSS 편집이 보이시는가? 


클리구클리쿠






</head> 


이 문자 바로 위에다가 살포시 컨트롤 브이 붙혀넣기 하시라. 



문서 편집에 미덕은 "확인" 버튼 클릭인거 아시는가!!


얼른 확인 버튼을 누르시라. 




끝. 











PS. 만약 잘 안보인다면, 상단에 meta 태그들이 노는 곳에 놓아주시라. 그럼 잘 확인해볼 수 있다. 


PS. 그리고 사이트 내부에 잘 소스코드가 인식이 되었나 궁금한 자는 ... 




뭐 다들 아시겠으나, 페이지 소스보기 하면 현재 보여지는 사이트의 html 소스코드가 모두 보여진다. 


클리쿠클리쿠 




페이지에 인식되어 있다. 


ㅇㅋ 그럼 설치 끝!